국악의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14:04
본문
Download : 국악의 역사.hwp
고려시대는 향악 대신 속악이라는 말을 썼고, 조선시대엔 아악과 속악으로 크게 가르고, 속악은 당악과 향악을 동시에 지칭한적도 있었다. 아악은 China 송(宋)나라의 정악(正樂)을 말하는 것 으로 궁정에서 행하는 제사 및 연향(宴享)에 두루 쓰였다. 그러므로 역싸적인 관점에서 국악을 분류한다면 아악·당악·향악으로 가르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하겠다.
긴 역싸를 민족과 함께 생성되어 온 우리의 음악은 시대에 따라 아악(雅樂)·당악(唐樂)·속악(俗樂) 등의 명칭으로 분류된다 향악이나 속악은 순수한 재래의 음악이라는 뜻이고, 주로 궁정이나 지식층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일반 민간에서 사용된 음악은 이 향악이나 속악의 범주 안에 들지 않는다. 당악이 들어오면 당악을 추종하고, 아악을 들여와 국가 대사에 사용하고, 향악보다 이들 음악만이 격조가 높은 양, 이것이 우리의 음악인 것처럼 착각하고 추종하여 번창 하였지만, 그 음악을 밑거름으로 더욱 우리의 음악을 풍성하고 아름답게 꽃피우려 했던 옛 음악인들이 있어 오늘날 우리의 음악을 알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외래의 그 어느 것보다 찬연한 음악으로 살아 있는 것이라 믿는다. 더구나 고려·이조시대의 사대주의 사상에서 비롯된 역싸의 어두운면에서 우리 음악은 너무나 고독했다. 이 분류방법에 근래에는 판소리·산조·잡가·민요·농악 등을 묶어 민속악으로 그 분류에 넣기도 한다.
Download : 국악의 역사.hwp( 47 )
1. 상고시대(上古時代)
2. 삼국시대
3. 통일신라시대
4. 고려시대
5. 조선시대
6. 근세
음악의 역싸라는 것은 미술·문학·연극·무용 등의 예술文化는 물론 정치·경제·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을 것이다. 또한 당악이란 당나라 음악뿐만 아니라 송나라에서 들어온 China의 속악을 총칭하는 이름이나, 그것을 한국식으로 고쳐진 동화(同化)되고 한국화된 것이 많기에 China음악이라고 완전히 definition 내리기는 어렵다. 이 당악에 대한 한국음악이 향악이라고 한다. 그러기에 우리의 음악의 역싸를 돌이켜 보면, 외부 세력의 침략과 끊임없는 항쟁으로 그 수난이 많았다 할 것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음악사를 상고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그리…(To be continued )
레포트/예체능
국악의 역사
,예체능,레포트
설명
국악의역사[시대순으로정리] , 국악의 역사예체능레포트 ,
순서
국악의역사[시대순으로정리(整理)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