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원양성제도의 현재상황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5:09
본문
Download : 20021203152958_한국교원양성제도의_현황과_.hwp
2. 교육운동의 두 방향
3-3. 제2대학운동 / 자주강좌운동 / 예비교사교양대학 / 학회운동 :
한국교원양성제도의 현재상황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우리는 어떤 것들에 둘러싸여 살아가는가? 신문 한쪽에 구석에 조그맣게 실린 노동자가 분신했다는 이야기보다, 더 크게 보도되는 프로야구 결과에 더욱 눈길을 주는 사람들. ‘슬픔도 노여움도 없이 살아가는 자는 조국을 사랑하고 있지 않다’던 러시아 시인 네크라소프의 말은 이제 아주 낯설은 소리가 되어버렸다.
3. 당위가 한풀 꺽인 시대, 일상에서 정치를 재구성한다
ㅁ학생운동은 교육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1. 노수석, 벌써 어색해진 이름, 들리지 않는 비명소리
한총련 학원자주화추진위원회 96년 하반기 총노선.
3-2. 학원자주화투쟁 / 민족대학운동 / 자치대학운동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1. 이데올로기 국가기구
2. 수익자부담 논리 : 교육은 개인의 몫이다!
4. 기능주의에 바탕한 실용학풍에 대한 문제 :
3. 학생교육운동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기
2-1. 중심에서 주변으로 뻗은 길
교육제도 교원제도 학생운동 공교육 / 김바오로, 「교육운동론과 교육론」, 한국교육연구소, ꡔ한국교육의 성격과 교직원노동운동ꡕ, 푸른나무, 1990. 유상덕, ꡔ교육개혁과 교육운동의 전망ꡕ, 내일을 여는 책, 1996. 폴 윌리스, ꡔ교육현장과 계급재생산ꡕ, 민맥, 1989. 이혜영/이종태/정재걸/천세영/한만길, ꡔ교육이란 무엇인가ꡕ, 한길사, 1990. 조혜정, 「입시 문화의 정치경제학」, ꡔ글 읽기와 삶 읽기3ꡕ, 또하나의 문화, 1995. 신진욱/허준석, ꡔ1968: 거부된 과거, 감추어진 미래ꡕ, 학회평론, 1995 가을/겨울. 한총련 학원자주화추진위원회 96년 하반기 총노선. 전국학생투쟁연합 교육운동연대회의, ꡔ우리는 행동한다ꡕ, 1996. 서울지역 사범대학 학생대표자협의회 학회 자료집, ꡔ네 희망의 활 위에ꡕ, 1996. ()
()
ㅁ 학생운동에서 교육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1. 기회균등의 논리 : 노력하면 된다는 신화
전국학생투쟁연합 교육운동연대회의, ꡔ우리는 행동한다ꡕ, 1996.
신진욱/허준석, ꡔ1968: 거부된 과거, 감추어진 미래ꡕ, 학회평론, 1995 가을/겨울.
1. 두 얼굴의 사나이 -공교육의 양면성
4. 게다가 교육을 위협하는 새로운 세력이 떠올랐다!
순서
2. 그러나 저항의 진지
3. 경쟁승리 논리 : 널 죽여야 내가 산다?!
Download : 20021203152958_한국교원양성제도의_현황과_.hwp( 15 )





3-1. 등록금투쟁 / 교육재정확보투쟁 :
3. 그밖에
폴 윌리스, ꡔ교육현장과 계급재생산ꡕ, 민맥, 1989.
유상덕, ꡔ교육개혁과 교육운동의 展望(전망) ꡕ, 내일을 여는 책, 1996.
2. 우리는 일상에서 저항의식을 말살당한다
교육제도 교원제도 학생운동 공교육
3-5. 지역학교 / 교육활동
서울지역 사범대학 학생대표자협의회 학회 자료(data)집, ꡔ네 희망의 활 위에ꡕ, 1996.
조혜정, 「입시 문화의 정치경제학」, ꡔ글 읽기와 삶 읽기3ꡕ, 또하나의 문화, 1995.
우리는 거리에서만 깨지는 것같지 않다. 적은 이제 너무 가까이 있어, 우리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ㅁ 몇 가지 국가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
교육제도 교원제도 학생운동 공교육 / 김바오로, 「교육운동론과 교육론」, 한국교육연구소, ꡔ한국교육의 성격과 교직원노동운동ꡕ, 푸른나무, 1990.
설명
1-1. 공교육이 갖는 해방의 측면
3-4. 반대학운동 :
1-2. 공교육이 갖는 억압의 측면
이혜영/이종태/정재걸/천세영/한만길, ꡔ교육이란 무엇인가ꡕ, 한길사, 1990.
ㅁ 왜 ‘교육’에 학생운동이 눈길을 보내는가
2-2. 주변에서 중앙으로 들어오는 길
예전에 80년대 초중반의 일상이 학내에 늘 머무르는 전경, 대통령을 국민이 뽑지 못하는 한국형 민주주의, 비밀리에 이루어지는 언더써클의 대거리, 날아가는 화염병과 돌멩이와 깨진 보도블럭과 대자보에 붙은 구속자 명단이었다면, 그래서 그때의 일상이 저항을 생산해냈다면, 이제 96년의 일상은 저항을 잠식하는 힘을 갖는다. 대거리 체제가 무너지는 일, 학회나 소모임들이 하나둘 예전같지 않게 되는 일, 이런 것들이 우리가 일상에서 서서히 무너져간다는 증거들이다. 우리가 지배체제에 밀리는 싸움은 오히려 우리의 일상생활에 있지 않은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