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放通大(방통대) 2012-2 식생활과 문화 A형>우리나라 떡의 어원, 歷史, 떡문화의 특징, 그리고 떡에 얽힌 풍…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01:35
본문
Download : [한식]떡, 음청류, 한과 의 역사와.hwp
고 하였으며, 자는 쌀을 쪄서 매에 문드러지게 치는 까닭에 합쳐서 찐다. 여기에 따르면, 우리의 떡은 쌀을위주로 하여 만들고 있는 만큼 이(餌)나 자(咨)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마땅할 것이다. 떡은 또 간식이기도 한데 계절적으로는 가을과 겨울에 많이 해 먹는다.
7. 떡의 보관
6. 우리나라 떡에 얽힌 풍속
8. 떡 종류에 따른 의미
떡이란, 대개 곡식가루를 반죽하여 찌거나 삶아 익힌 음식으로, 농경 文化의 정착과 그 history(역사) 를 함께 하는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 음식 중의 하나이다. 또, 한대 이전의 문헌인 <<주례(禮)>>에는 구이분자(救餌粉咨 )라는 표기도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재료에 따른 명칭상의 구별 없이 떡이라 하고, 한자어로 나타날 때에는 모두 병(餠)이라는 표현으로 쓰고 있따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1. 떡이란?
설명
식생활과문화,떡의어원,떡의역사,떡문화의특징,떡에얽힌풍속,가정학과
1. 떡이란?
5. 떡의 종류
순서
<放通大(방통대) 2012-2 식생활과 문화 A형>우리나라 떡의 어원, 歷史, 떡문화의 특징, 그리고 떡에 얽힌 풍속에 대하여 알아보시오.
9. 참고한 문헌
- 가정학과 1학년 식생활과 문화 A형 참고자료(資料)입니다
![[한식]떡, 음청류, 한과 의 역사와-423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10/%5B%ED%95%9C%EC%8B%9D%5D%EB%96%A1,%20%EC%9D%8C%EC%B2%AD%EB%A5%98,%20%ED%95%9C%EA%B3%BC%20%EC%9D%98%20%EC%97%AD%EC%82%AC%EC%99%80-4232_01.jpg)
![[한식]떡, 음청류, 한과 의 역사와-423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10/%5B%ED%95%9C%EC%8B%9D%5D%EB%96%A1,%20%EC%9D%8C%EC%B2%AD%EB%A5%98,%20%ED%95%9C%EA%B3%BC%20%EC%9D%98%20%EC%97%AD%EC%82%AC%EC%99%80-4232_02_.jpg)
![[한식]떡, 음청류, 한과 의 역사와-423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10/%5B%ED%95%9C%EC%8B%9D%5D%EB%96%A1,%20%EC%9D%8C%EC%B2%AD%EB%A5%98,%20%ED%95%9C%EA%B3%BC%20%EC%9D%98%20%EC%97%AD%EC%82%AC%EC%99%80-4232_03_.jpg)
![[한식]떡, 음청류, 한과 의 역사와-423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10/%5B%ED%95%9C%EC%8B%9D%5D%EB%96%A1,%20%EC%9D%8C%EC%B2%AD%EB%A5%98,%20%ED%95%9C%EA%B3%BC%20%EC%9D%98%20%EC%97%AD%EC%82%AC%EC%99%80-4232_04_.jpg)
![[한식]떡, 음청류, 한과 의 역사와-4232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10/%5B%ED%95%9C%EC%8B%9D%5D%EB%96%A1,%20%EC%9D%8C%EC%B2%AD%EB%A5%98,%20%ED%95%9C%EA%B3%BC%20%EC%9D%98%20%EC%97%AD%EC%82%AC%EC%99%80-4232_05_.jpg)
4. 떡의 쓰임새
Download : [한식]떡, 음청류, 한과 의 역사와.hwp( 80 )
떡은 그 어원을 중국(China)의 한자에서 찾을 수 있는데, 한대(漢代) 이전에는 떡을 이(餌)라 표기하였다. 한편, 기록에 의하면 밀가루가 보급된 한대 이후에는 떡을 가리키는 표기가 병(餠)으로 바뀌고 있따 떡의 주재료가 쌀에서 밀가루로 바뀌면서 병(餠)이란 새로운 표기법이 쓰이게 된 것이다.라고 했던 바, 이(餌)는 찧어 가루로 만든 다음에 반죽을 하므로 떡으로 만든다. 마음에 흡족하게 가졌는데도 더 주어서 그 이상 바랄 것이 없을 만한 상태를 가리키는 이 말은, 밥보다 떡을 더욱 맛있게 생각하는 별식임을 말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 민족에게 떡은 특히 별식으로 꼽혀 왔다.고 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덧붙여 구(救)란 볶은 콩이고, 분(粉)이란 콩가루이므로 찹쌀이나 기장쌀로써 먼저 가루를 만들어 볶은 콩을 얹어 만든 떡이 구이(救餌)이며, 찹쌀과 기장쌀을 먼저 쪄 쳐서 만든 다음 콩가루를 묻힌 것이 분자(粉咨)라 했다. 가을엔, 추수가 끝나 곡식이 넉넉하고 농한기로 접어드는 시기이므로 무시루떡 같은 것을 많이 해 먹는다. 결국 떡을 나타내는 한자는 쌀을 위주로 해서 만들었을 경우 조리법에 따라 이(餌)나 자(咨)로 표기했고, 밀가루로 만들었을 경우 병(餠)이라 표기한 셈이다. 그리고 겨울에는 인절미를 말랑말랑하게 구워, 꿀이나 조청 또는 홍시에 찍어 먹으며 겨울 정취를 만끽해 왔다.
3. 떡의 영양과 성분
다.
- 다양한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가정학과 1학년 식생활과 문화 A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레포트 > 기타
2. 떡의 어원 및 떡에 얽힌 풍속
2. 떡의 어원 및 떡에 얽힌 풍속
조선 시대의 문헌인 <<성호사설>>에는 이에 관한 해석을 다음과 같이 하고 있따 곧 <<주례>> 주에 이르기를 합쳐 찌는 것이 이(餌)이고 만드는 것이 자(咨)이다. 이 당시는 중국(China)에 밀가루가 보급되기 전이므로 떡을 쌀 기장 조 콩 등으로 만들었다. 그래서 밥 위에 떡이란 속담도 생겨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