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문화의 이해-공한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16:56
본문
Download : 중국문화의 이해-공한증.hwp
@스…(투비컨티뉴드 )


다.05-1중국문화의이해-공한증 , 중국문화의 이해-공한증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중국문화의 이해-공한증.hwp( 92 )
1. ‘잠자는 용’ 남자축구
2. 중국(中國)축구 체면 살린 여자축구
3. 느낀 점
1. ‘잠자는 용’ 남자축구
아시아 최대의 스포츠 국가이면서도 축구에 관한 한 아직도 ‘잠자는 용’이다. 중국(中國)축구협회의 公式(공식)통계에 따르면 인구 13억에 등록 선수는 724만 명에 팀 수 2,347개, 프로선수 1,500명 안팎. (한국은 등록선수 52만 명, 실업 프로팀 모두 합해 54개, 프로선수 1,500여명)
※주요전적
아시아 컵 준우승 1회(1984), 3위 2회(1976,1992)
아시아 대회 준우승 1회(1994), 3위 1회(1998)
FIFA 월드컵 출전 1회-본선탈락 (2002) - C조: 브라질 4-0 패
터키 3-0 패
코스타리카 2-0 패
2006년 독일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탈락
FIFA랭킹 : 58위 (2005.5월 현재)
▶공한증 ( ‘恐韓症 [kong(3) han(2) zheng(4)] )
대한축구협회 기준으로 1978년 이후 한-중 국가 대표 팀 간 남자축구경기 (A매치) 전적은 25전 10무 15패로 한국에 단 한 次例(차례)도 이기지 못한 중국(中國) 사람들의 한국축구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낸 신조어. 《 78년부터 각 종 대회에서 한국에 연전연패 했던 중국(中國)은 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두고 그 해 1월 30일 말레이시아에서 한국과 예선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05-1china문화의이해-공한증
순서
중국 문화에 대한 특징의 하나인 공한증을 축구경기와 관련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설명
china문화의 이해-공한증
china 문화에 대한 특징의 하나인 공한증을 축구경기와 관련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이 경기를 보도한 중국(中國) 언론은 경기 처음 후 9분 동안 한국의 3골이 연달아 터져 ‘암흑의 9분’이라고 부르며 ‘공한증’이란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그리고 96년 애틀란타 올림픽 아시아 최종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다시 한국에 0대 3으로 패하면서 공한증이 중국(中國) 최대의 징크스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55년 국제 축구연맹(FIFA)에서 탈퇴해 국제무대에서 멀어졌다가 1974년에 복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