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금융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22:43
본문
Download : [경제] 국제금융 .hwp
그리고 이를 위해서 중앙은행은 적당량의 금리저브를 보유하였다. 당시 중앙은행은 금융계정에 주목하고 종합수지를 균형시키는 것을 대외적 goal(목표) 로 삼았다. 이때부터 영국에서는 화폐 한 단위와 일정량의 금 사이의 법정교환비율을 고정시키고, 금화의 자유주조를 허용하고, 화폐를 아무런 제한 없이 금화와 교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국제수지흑자국의 경우 금의 유입이, 국제수지적자국의 경우 금의 유출이 발생한다. 이러한 금의 유입으로 자국의 화폐공급이 자동적으로 증가하고, 금의 유출로 해외의 화폐공급이 자동적으로 감소한다.
4. 킹스턴 체제
순서
Download : [경제] 국제금융 .hwp( 40 )
통화지표 국제통화금융제도 금본위제도 브레튼우즈체제 킹스턴체제 / ()
Ⅱ.국제통화금융제도의 변천
통화지표 국제통화금융제도 금본위제도 브레튼우즈체제 킹스턴체제 / ()
○ 물가-정화 플로 메커니즘 price-specie-flow mechanism : 가령 자국의 경상수지흑자가 자본수지적자보다 높다고 하자. 해외의 순수입이 자국의 해외에 대한 대출로써 완전히 충당되지 않으므로 그 차이는 국제 대외리저브, 곧 금의 유출입으로써 해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국내외의 통화량 변동은 자국 내에서 지출을 증가시킴으로써 국내물가가 상승하고, 해외에서 지출을 감소시킴으로써 해외물가가 하락한다.
○ 금본위제도의 생성 : 법적 기구로서 금본위제도가 처음 시행된 것은 1819년 영국에서였다.





1. 금본위제도
국제통화금융제도
다.
통화지표 국제통화금융제도 금본위제도 브레튼우즈체제 킹스턴체제
Ⅰ.통화지표
3. 브레튼우즈 체제
1. 금본위제도
2. 양차 세계대전 중간시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 금본위제도하 대외적 균형 : 금본위제도 아래서 중앙은행의 기본적 의무는 해당 통화와 금 사이의 법정교환비율, 금평가 official gold parity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대외리저브는 금화, 금의 형태로서 보유되었으므로, 국제수지불균형, 즉 흑자 또는 적자는 중앙은행간 금의 이동으로서 처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