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사회의 내면 읽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8:42
본문
Download : 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사회의 내면 읽기.hwp
교과서문제를통해본일 , 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사회의 내면 읽기사범교육레포트 ,
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사회의 내면에 대하여 설명(說明)하고 있다
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사회의 내면 읽기
레포트/사범교육
다.
교과서문제를통해본일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사회의 내면 읽기.hwp( 14 )
설명
1. 무엇이 문제인가? (앞으로 전개할 논제)
- 교과서 波動 운동의 특징- 교과서 왜곡을 통해 부정하려는 대상
- 교과서 波動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
2. 최근 교과서 波動의 특징과 사회현상
1) `왜곡`의 주체가 형식상으로는 日本(일본) 우익 민간 단체의 대중 운동적 성격
① government 의 모순된 행동
ⓐ 1950-1980년 교과서波動시 혁신진영의 교과서검정신청을 문부성이 불합격판정ⓑ 이번 교과서 波動시 혁신진영의 `새 역사(歷史)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교과서 불 합격 처분 신청을 문부성에서는 ‘사상의 자유`라고 하면서 government 의 개입을 회피
② 새 역사(歷史)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전통적우익 : 미일안보조약으로 대표되는 친미주의 수용을 통한 반공주의의 완성ⓑ 혁신진영 : 미일안보조약의 폐기를 `비무장 평화주의`의 실질적 완성
ⓒ 신우익 : 미일안보조약의 폐기를 日本(일본) 군대의 독립 및 강화를 통한 `보통국가 화`의 중요한 걸음으로 보고 있다아
♣ 새 역사(歷史)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전후 민주주의 기본 틀인 친미주의와는 확…(To be continued )
2) 역사(歷史)학의 비전문가가 중심이 되어 교과서를 집필
① 기존역사(歷史) : 실증주의, 전culture, 세분화로 대중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아
② 멀어진 기존의 ‘역사(歷史)’를 대중에게 되돌려준다는 대중주의적 역사(歷史)관과 맞물리면 서 역사(歷史)를 극단적으로 상대화함.
3) 교과서 운동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반관료주의적 대중운동의 성격
① 유토피아 없는 부유(浮游)하는 개(個)의 공동성의 갈망
② ‘새 역사(歷史)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구성
3. 전후 민주주의와 과거사 인식
1) 교과서 왜곡주도세력이 日本(일본)을 바라보고 있는 관점
① 절망적 인식
② 원인(原因) - 전후민주주의
2) ‘새 역사(歷史)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부정대상
① 전후 민주주의에 바탕을 둔 전후역사(歷史)학을 계승한 시바사관
② 1980년대 이후 아시아에 대한 반성사관
3) 전후 민주주의
① 비틀림 ∴ 2가지 ‘비틀림’의 구조는 전후 민주주의 역사(歷史)관에 계승
② 도쿄재판 - 1928년 ~ 1945년 전쟁종결
③ 시바 사관 - “메이지까지는 좋았는데, 쇼와시대부터 잘못되었다.”
④ ~1950년대 : 비판으로서의 ‘전후’적 日本(일본)사상제시 - 전전에 대한 전면적 반성
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사회의 내면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