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발에 따른 197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現況과 특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06:05
본문
Download : 경제개발에 따른 197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현황과 특색_5050901.hwp
③ 도시제개발법의 제정
76년 도시재개발법이 마련되고 77년부터 시행되기 처음 하여 서울을 비롯…(투비컨티뉴드 )
경제개발에 따른 197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現況과 특색
경제개발에따른1970년대우리나라도시발전현황과특색 , 경제개발에 따른 197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현황과 특색경영경제레포트 ,
경제개발에따른1970년대우리나라도시발전現況과특색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다. 본계획은 각권역별로 개발의 기본구상이 설정되었고 권역은 수계유역을 중심으로 4대권을, 현행 도단위 행정구역찬을 중심으로 8중권, 중소도시의 배후지를 감안 17소권으로 구분하여 개발단위로 설정 하였다.
② 개발제한구역(Greenbelt)의 제정
기성 시가지 주변의 구릉지나 생산녹지를 보전하고 시가지의 무질서한 팽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1971년 서울시 주변 1,566.8km²면적에 설정을 위시로 이어서 부산, 대구 등의 대도시와 마산, 창원 등 신산업도시등14개 지역에 전국토의 5.5%에 상당한 지역에 개발제한구역이 설정되었다.
Download : 경제개발에 따른 1970년대 우리나라 도시발전 현황과 특색_5050901.hwp( 66 )
설명
1. 들어가며
2. 기존도시의 재정비
3. 신도시의 건설
4. 도시성장과 도시화 추세
2. 기존도시의 재정비
①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추진
국토자원의 총합적인 이용개발과보전에 관한 기본계획으로서 각종 국토개발계획의 지침이 되는 제1차국토종합개발계획이 71년에 확정되어 집행되기 처음 하였다.
기타 도시기능의 특화추진, 토지용도지역별의 강화, 도심지 재개발의 촉진, 지방중소도시의 개발육성 및 도시별 공공시설 기준의 설정 등이 주요 내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