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담의 개념(槪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3:36
본문
Download : 민담의 개념_2020865.hwp
어느 학문이건 자료(資料)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없겠지만, 민담자료(資料)는 특히 현지조사에서 직접 얻은 원문 그대로의 것, 곧 현장성이 있는 자료(資料)이어야 한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省略)
순서
민담의개념(槪念)2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요컨대 민담의 현장성이란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구전민담이 구비문학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문헌민담은 기록문학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구비문학의 여러 다른 장르가 그러한 것처럼 민담의 생명은 구전된다는 데 있따 문헌민담의 경우 그것은 원래 구전민담의 기록인 것이며, 일단 그것이 기록되어 버리면 생명은 식어지는 것이라 볼 수 있따 기록된 민담이 다시 민중 속에서 구전될 때 비로소 그 문헌설화는 생명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민담연구를 위해 구전민담의 자료(資料) 및 채록은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것이다. 문헌 민담이 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일부의 유식계급사이에서만 행해졌던 반면에, 구전민담은 문자의 사용이 처음 된 뒤에도, 오랫동안 문자와는 관계가 없었던 대다수의 민중 사이에서 구전된 문학인 것이다.
민담의 개념(槪念)
Download : 민담의 개념_2020865.hwp( 50 )
민담의 개념에 대해서민담의개념2 , 민담의 개념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민담의 개념(槪念)에 대하여
민담이 입으로 전해질 때 구전민담이라 하고, 구전되던 민담이 문자로 기록되면 문헌민담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