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상에 발생한 구름줄(cloud street)의 수치모의에 나타난 구조 및 property(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04:30
본문
Download : 동해상에 발생한 구름줄(cloud street)의 수치모의에 나타난 구조 및 특성.hwp
초기기상장은 기상청의 GDAPS T213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NOAA MCSST를 포함한 NGSST는 NOAA …(drop)
순서
동해상에발생한구름줄의수치모의에나타난[1]..ㅇ
동해상에 발생한 구름줄의 수치모의에 나타난 구조 및 특성에 대해 연구한 자료입니다.
레포트/공학기술
동해상에 발생한 구름줄의 수치모의에 나타난 구조 및 property(특성)에 대해 연구한 입니다. NOAA MCSST는 고해상도의 휘도온도값들을 이용하였고 또한 관측센서 자체의 에러도 작아 GMS-5 MCSST보다 높은 해수면온도 산출 정확도를 가진다. 구름줄의 형성에 고해상도 해수면 온도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하여 약 5km해상도의 NGSST를 사용하였다(Ahn, et al., 2001). NGSST는 일주일 平均(평균) SST로 일주일동안의 GMS-5 PFSST와 NOAA MCSST모두를 이용한 것으로 총 252개의 매시간 SST의 平均(평균)값으로 산출된다된다.
1. 서 론
2. 수치 test(실험)
3. 결 과
수치test(실험) 에 사용된 물리과정은 Table 1에 요약하였으며 습윤물리과정은 Resner1을 적용하였고, 경계층 물리과정은 MRF를, 지표물리과정은 5층 토양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단파복사과정은 구름-복사 상호작용(Dudia)과 장파복사는 RRTM을 각각 적용하였다.동해상에발생한구름줄의수치모의에나타난[1]..ㅇ , 동해상에 발생한 구름줄(cloud street)의 수치모의에 나타난 구조 및 특성공학기술레포트 ,
동해상에 발생한 구름줄(cloud street)의 수치모의에 나타난 구조 및 property(특성)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Download : 동해상에 발생한 구름줄(cloud street)의 수치모의에 나타난 구조 및 특성.hwp( 30 )
%EC%9D%98%20%EC%88%98%EC%B9%98%EB%AA%A8%EC%9D%98%EC%97%90%20%EB%82%98%ED%83%80%EB%82%9C%20%EA%B5%AC%EC%A1%B0%20%EB%B0%8F%20%ED%8A%B9%EC%84%B1_hwp_01.gif)
%EC%9D%98%20%EC%88%98%EC%B9%98%EB%AA%A8%EC%9D%98%EC%97%90%20%EB%82%98%ED%83%80%EB%82%9C%20%EA%B5%AC%EC%A1%B0%20%EB%B0%8F%20%ED%8A%B9%EC%84%B1_hwp_02.gif)
%EC%9D%98%20%EC%88%98%EC%B9%98%EB%AA%A8%EC%9D%98%EC%97%90%20%EB%82%98%ED%83%80%EB%82%9C%20%EA%B5%AC%EC%A1%B0%20%EB%B0%8F%20%ED%8A%B9%EC%84%B1_hwp_03.gif)
%EC%9D%98%20%EC%88%98%EC%B9%98%EB%AA%A8%EC%9D%98%EC%97%90%20%EB%82%98%ED%83%80%EB%82%9C%20%EA%B5%AC%EC%A1%B0%20%EB%B0%8F%20%ED%8A%B9%EC%84%B1_hwp_04.gif)
%EC%9D%98%20%EC%88%98%EC%B9%98%EB%AA%A8%EC%9D%98%EC%97%90%20%EB%82%98%ED%83%80%EB%82%9C%20%EA%B5%AC%EC%A1%B0%20%EB%B0%8F%20%ED%8A%B9%EC%84%B1_hwp_05.gif)
%EC%9D%98%20%EC%88%98%EC%B9%98%EB%AA%A8%EC%9D%98%EC%97%90%20%EB%82%98%ED%83%80%EB%82%9C%20%EA%B5%AC%EC%A1%B0%20%EB%B0%8F%20%ED%8A%B9%EC%84%B1_hwp_06.gif)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