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레포트] 새만금갯벌과 future 세대에 대한 책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4:56
본문
Download : 새만금갯벌과_미래세대.hwp
그런데 전라북도 갯벌의 90%를 차지하는 이곳에 장장 33㎞의 방조제를 쌓아 상당 부분을 농지 및 공업용지로 이용하기 위한 새만금 간척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서해안 갯벌은 세계 5대 갯벌의 하나로서 생태계의 보고로 손꼽힌다. 굴뚝에 검은 연기가 팡팡 나도록 하는 것만이 우리민족의 살길이라는 1960년대 개발논리의 여진이 남아있던 1980년대, 국토개발 확장정책은 시화지역을 비롯한 다른 여러 곳과 더불어 이곳도 간척지 후보지로 설정했다. 따라서 이런 유형의 이익과 특혜를 누릴 집단은 언제든 사업 시행을 반기게 되어 있다. 많은 예산을 배정 받는 농림부와 그 산하 농업기반공사(전 농어촌진흥공사)는 다른 政府 부서 및 그 산하기관과 마찬가지로 일을 벌리는 데 익숙하다. 이런 사...





순서
새만금 갯벌과 future 세대에 대한 책임 1. 새만금 간척사업새만금 갯벌은 전...
새만금 갯벌과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 1. 새만금 간척사업새만금 갯벌은 전...
레포트 새만금갯벌과 미래세대 새만금 갯벌과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 1. 새만금 간척
레포트 > 기타
설명
[레포트] 새만금갯벌과 future 세대에 대한 책임
Download : 새만금갯벌과_미래세대.hwp( 64 )
다. 사업의 재원이 어디서 나오든 사업 시행 그 자체는 고용 창출과 더불어 막대한 사업비 지출에 따른 온갖 이익 향유와 특혜가 발생한다. 현재까지는 방조제 물막이 공사만 60%정도 진척된 상태로서 바다 속의 작업은 거의 진행된 편인데, 이미 1조원 이상이 소요되었다.
새만금 갯벌과 未來세대에 대한 책임 1. 새만금 간척사업새만금 갯벌은 전라북도를 흐르는 만경강과 동진강이 서해 바다와 만나면서 형성된 2만 헥타르의 광활한 지역으로서 군산시와 김제시 그리고 부안군에 걸쳐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세수가 늘어나는 혜택을 입는 전라북도 자치단체도 반길 수밖에 없다.과연 국민의 막대한 세금으로 진행되는 새만금 간척사업이 계속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방조제 조성 후 강과 담수호 수질 improvement(개선)을 위한 비용으로 막연하게 1조원 정도가 책정되어 있다. 1988년 한국산업경제연구원이 수행한 새만금 간척사업의 경제성 평가에 뒤이어, 1991년 간척사업의 시행이 인가되었다. 1989년 농업용지 활용 용도로 사업비 8천2백억원이 책정되었지만 1999년에는 2조2천137억원으로 2.7배 증액되었고, 향후에는 3조7천억원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