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교육(定義(정이),목적,필요성(必要性),결과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03:55
본문
Download : 가족교육(정의,목적,필요성,효과).hwp
셋째, 환자 본인이 스스로 하려고 동기화 시키는 것이 중요함을…(생략(省略))
가족복지학-가족교육 , 가족교육(정의,목적,필요성,효과)인문사회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순서
Download : 가족교육(정의,목적,필요성,효과).hwp( 45 )
설명
다.
《효율적인 의사소통방법의 기술》로는 첫째, 환자가 현실성을 상실하였을 때 단순하고 신뢰적인 태도를 가지며 둘째, 환자가 공포를 느낄 때 차분한 태도를 취하고 셋째, 불안정한 환자인 경우 그를 받아주는 태도를 가지며 넷째, 집중력 장애의 환자인 경우 간단하고 반복적인 일을 과제(problem)로 주고 다섯째, 과잉자극의 환자인 경우 정보전달 제안 및 토론을 강요하지 말며 여섯째, 집착적인 환자의 경우 그의 집중을 끌어내고 일곱째, 철수된 환자의 경우 연관된 대화로 그를 유도하며 여덟째, 감정alteration(변화) 가 심한 환자일 때 감정alteration(변화) 를 무시하고 아홉째, 계획이 자주 바뀌는 환자인 경우 한 가지 계획을 고수하도록 하며 열째, 상대방에 대한 감정이입이 없는 환자인 경우 그것을 증상으로 인식시키도록 하며 열 한 번째, 망상을 믿고 있는 환자인 경우 그것을 무시하되 결코 논쟁하지 말며, 마지막으로 자존감이 낮은 환자에게는 가능한 한 기다리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
가족복지학-가족교육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가족교육(定義(정이),목적,필요성(必要性),결과 )
(4) 어려운 상황의 극복기술에 관한 교육
가족이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와 함께 지낼 때,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구체적이고 유용한 기술들은 크게 1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① 환자와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법의 기술 (Falloon 등, 1982 : Moss & Gilerman, 1982)
환자와 효과(效果)적 의사소통을 나눈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상황을 약간 더 호전시킬 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② 나태한 환자에게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방법의 기술 (Goldstein & Kopeikenm, 1981)
이 기술은 첫째, 정신분열병의 음성증상이 약물로 큰 도움이 되지 않음을 교육하며 둘째, 환자의 반복된 실패로 인하여 생긴 학습된 절망감(동기적 결손의 학습)도 약물이 도움이 되지 않음을 교육한다. 특히 심한 망상, 환청을 가진 환자인 경우에 더 조심해야 하며, 환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식으로 의사소통 해야 한다.